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대학 - 800개 대학 순위. 우선 중국에는 대학이 총 2914개가 있다. (헉..) 하지만 놀라지마시라 .. 작은 땅덩어리 한국에도 꽤나 많다 약400개 정도나 있다. (매년 다르다.) 대한민국 학벌주의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 같은 학벌주의.. 중국에도 있을까? 당연히 있다. 그래도 우리나라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 더 재밌는건 스펙도 잘 안본다는거.. 중국 취업난이라는데 그냥 말로만 그런듯 하다. 필자가 아는 중국인 친구들 영어점수, 자격증 하나 없이 잘 취업했다. (완다그룹도 한명감..) 심지어 대기업이 와서 그자리에서 면접보고 데려간다.. 처음엔 공장간줄 알았다. ㅋㅋㅋㅋ 분명 과락 뜰까봐 걱정하던 친군데... 참, 대한민국도 저런 시절이 있었겠지.. ㅋㅋ 이런것들 보면은 대한민국 처럼 스펙주의 학벌주의 찌들은 나라가 또 있을.. 더보기
[중국 경제] 중국의 도시 3화 - 중국의 비주류 도시 분석 (GDP,인구,경제,인구밀도,통계) 이번에는 지난글에 이어서 중국의 비주류 도시들을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중국 산업 소식(中国产业消息)이라는 홈페이지에서 재밌는 자료들을 찾아냈습니다. 排名 城市 GDP:亿元 同比增长:% 人口:万 1 上海 26688 6.70% 2415 2 北京 24541 6.70% 2171 3 广州(广东1) 20004 8% 1667 4 深圳(广东2) 19300 9% 1077 5 天津 17800 9% 1547 6 重庆 17010 10.70% 3372 7 苏州(江苏1) 15400 7.50% 1060 8 武汉(湖北1) 11756 7.80% 1061 9 成都(四川1) 11721 7.50% 1573) 10 杭州(浙江1) 11700 10% 889 11 南京(江苏2) 10450 8% 824 12 青岛(山东1) 10100 8% 871 .. 더보기
[중국 경제] 중국의 도시 2화 - 중국의 주류 도시 분석 (GDP,인구,경제,인구밀도) 2화에서는 중국 도시 주요도시의 객관적 정보와 한국인이 많은 도시들을 적어보겠습니다. 이번편에서 다뤄볼 주요도시는 上海市(상해, 상하이) 北京市(베이징, 북경) 深圳市(심천) 广州市(광저우) 우한(武汉) 서안(西安)충칭(重庆) 청두(成都) 입니다. ㅎ 조사(분석?) 내용으로는 인구, gdp와 경제수준 정도 입니다. 인구 밀도의 경우에는 제가 직접 계산했습니다. ㅎㅎ;; 잘 안나오고 정보가 다 달라서요.. (인구 밀도) = (인구) ÷ (넓이(k㎡)) 의 공식으로 계산하였습니다. 맨 밑에 서울의 인구밀도도 계산해 놓았습니다. 제 글을 자료로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하나만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 참고로 정리하고 조사하는데 하루 종일 걸렸습니다.. 먼저 중국 전체 총 생산이(GDP) 12조 2,377억 47만 .. 더보기
[중국 경제] 중국의 도시 1화 - 일선도시와 신일선 도시 (中国城市新分级名单) 중국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다른 것들도 중요하지만 중국 도시들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중국 도시들에 대한 정보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1화에서는 1선 2선 도시와 저의 개인적 의견을 2화에서는 중국 도시 주요도시의 객관적 정보와 한국인이 많은 도시들을 3화에서는 비주류 도시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중국의 도시 분류 2018년 기준 이구요. 2선 도시까지만 살펴보면 一线城市(4个) 上海市 北京市 深圳市 广州市 新一线城市(15个) 成都市 杭州市 重庆市 武汉市 苏州市 西安市 天津市 南京市 郑州市 长沙市 沈阳市 青岛市 宁波市 东莞市 无锡市 二线城市(30个) 昆明市 大连市 厦门市 合肥市 佛山市 福州市 哈尔滨市 济南市 温州市 长春市 石家庄市 常州市 泉州市 南宁市 贵阳市 昌市.. 더보기
[2016 - 2017] 우한 중남민족대학교 (中南民族大学) 유학 이야기 - 3화 중국어. 중국 유학의 목적을 말한다면 1번은 중국어 회화 능력 습득이 아닐까 싶다. 필자가 중국어를 잘하는 편은 아니기 때문에... ㅋㅋ... 약간의 꿈같은 유학 중국어 공부 방향성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필자의 경험을 먼저 소개하자면 HSK 공부한다고 학원 한달 다녔다. 성조도 모르고 발음도 재대로 읽히지도 못했다. ( 지금 생각해보면 5급 정도는 공부하고 가는게 확실히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그렇게 간 중국에서의 수업은 발음부터 다시 배우는 기초반으로 가게 되었다. 사실 본인이 중국어를 조금 할 줄 알고 간다고 하더라도 발음 수업은 꼭 들었으면 한다. 중국어 발음은 초기에 잡아 놓지 않으면 굉장히 낭패를 볼 수가 있다. (필자가 그랬다.. 지금도 못고치는...) 그러므로 현지의 발음 전문 중국인 선생님께.. 더보기
[2016 - 2017] 우한 중남민족대학교 (中南民族大学) 유학 이야기 - 2화 우한 생활 우한 생활에 대한 내용을 글로만 쭉 나열하면 진짜 노잼의 끝일것 같아서 안하려고 한다. 대신에 우한 생활에 대해 잘 설명해 보려고 한다. (유학 생활뿐만 아니라 사업당시의 경험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우선, 우한은 중국 정부에서 현재 투자를 가장 많이 하는 도시 중 하나다. 직접 가보면 바로 알 수가 있는데, 그냥 모든 곳이 다 건설 현장이다. (덕분에 낮에는 먼지가 많다.. 신기하게 미세먼지는 없었다.. ) 특히 꽝꾸(光谷)라는 번화가(?)가 있는데 지하철 공사가 스케일이 미쳤다.. ㅋㅋ;; 사업하기 좋은 도시 1, 2위가 우한인것도 이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로 부동산 가격 상승률 미쳤다. 그런데 사람들 소비 수준은 그렇게 높지 않은듯 하다. 아무래도 구매력이 낮은 젋은 사람이 많은 사람이 많은 .. 더보기
[2016 - 2017] 우한 중남민족대학교 (中南民族大学) 유학 이야기 - 1화 시작. 중국 이야기를 시작하려니 유학시절 내용을 빼 놓을 수 없었다... (벌써 2-3년 지난 이야기지만..) 유학 가기전 중국에 대한 이미지는 일반적인 한국인들과 비슷했다고 생각한다.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 위험하고 비위생적이고 사회주의라는 체제와 함께 자유가 없다는 생각?!이 있었다. 그럼 왜 중국을 갔느냐? 중문과라서?? 남들 다가는데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생각없이 한 선택이지만 지금 생각하면 정말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럼 중문과는 왜 갔느냐? 중국이 뜬다길래 갔다.. 중국이 뜨긴 떳다. 근데 나는 같이 안떳다..ㅋㅋ;; 중문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할말이 너무 많다. 커리큘럼이니 제도에 대해서) 중국어도 잠깐 학원다니며 배웠다. hsk4급 공부 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