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이야기

[중국 경제] 중국의 도시 2화 - 중국의 주류 도시 분석 (GDP,인구,경제,인구밀도)

2화에서는 중국 도시 주요도시의 객관적 정보와 한국인이 많은 도시들을 적어보겠습니다. 

 

城市 夜景 - 출처 바이두

이번편에서 다뤄볼 주요도시는

上海市(상해, 상하이) 北京市(베이징, 북경) 深圳市(심천) 广州市(광저우) 

 

우한(武汉) 서안(西安)충칭(重庆) 청두(成都) 입니다. ㅎ

조사(분석?) 내용으로는 인구, gdp와 경제수준 정도 입니다.

인구 밀도의 경우에는 제가 직접 계산했습니다. ㅎㅎ;; 잘 안나오고 정보가 다 달라서요.. 

 

(인구 밀도) = (인구) ÷ (넓이(k㎡)) 의 공식으로 계산하였습니다. 

맨 밑에 서울의 인구밀도도 계산해 놓았습니다.

 

제 글을 자료로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하나만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

 

 

참고로 정리하고 조사하는데 하루 종일 걸렸습니다.. 

 


먼저 중국 전체 총 생산이(GDP) 12조 2,377억 47만 9,375달러 

일인당 총생산(人均GD) 8,826.99달러 입니다. 

 


1. 上海市(상해, 상하이)
人口 : 2423.78万人(2018年)

GDP : 32679.87亿元(2018年) 
人均GDP : 13.50万元(2018年)
面    积 : 6340.5平方千米
  人均支配收入 : 64183元(2018年) 

人口密度:3822.7

 


2. 北京市(베이징, 북경)
人口 : 2154.2万人(2018年)

GDP : 30320亿元(2018年)

人均GDP : 14万元(2018年)
面    积 : 16410.54平方千米
人均支配收入 : 62361元
人口密度: 1312.7

 


3. 深圳市(심천)
人口 : 1302.66万(2018年常住人口)
GDP : 22438.39亿元(2017年)
面    积 : 1997.47平方公里
人均GDP : 172250

人口密度: 6521.5

 


4. 广州市(광저우)

人口: 1449.84万

GDP : 21503.15亿元

面    积 : 7434.4平方公里 
人均GDP : 150678元
人均支配收入 : 55400元(2017年) 

人口密度: 1950.2


여기서부터는 신일선 도시들입니다. 

 


5. 우한(武汉)
人口 : 1108.1万人(2018年)

GDP : 14847.29亿元(2018年)

人均GDP : 135136元(2018年)

面    积 : 8494.41平方公里
 人均支配收入 : 42133元

人口密度: 1304.5

 


6. 서안(西安)

人口 : 1000.37万人(2018年)

GDP : 8349.86亿元(2018年) 

面    积 : 10752平方公里 
人均GDP :  85114元(2018年)
人口密度: 930.3


7. 충칭(重庆)

人口 : 3101.79万(2018年) 

GDP : 20363.19亿元(2018年)  

面    积 : 8.24万平方千米 
人均GDP :  65933元
人口密度: 376.4


8. 청두(成都)
人口 : 1633万人(2018年常住人口)
GDP : 15342.77亿元(2018年)

面    积 : 14335平方千米 
人均GDP :  32717.5

人口密度: 1139.2

 

서울 인구밀도가  16859.2이구요, 면적이  605.25平方千米입니다.

 

인구밀도는 서울이 최강이네요..ㅋㅋ;;


사실 경제 성장률에 관해서도 해보려고 했지만 ... 모든 도시가 다 나오질 않아서요..

크게 나라별로라도 본다면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2018년 기준 2.7%입니다.

중국은 6.9 %이구요. 예전보다 많이 낮아진 성장률입니다.

사실 많은 전문가들이 2018년에 5%대로 떨어질거라는 전망을 내놓긴 했습니다만..

아직은 지속적인 성장 강세를 유지하는 것 같습니다. 

여튼 다시 돌아와서 

중국은 현재 많은 도시들을 현대화 하려는 정부 정책을 강하게 실천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매년 증가되는 도시 유입인구가 엄청납니다.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중앙도시에 인구가 몰리는 현상을 어쩔수 없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유입되는 인구가 대부분 젋은층을 포함한 노동 가능 인구들이기 때문에 성장세는 계속 될 것 같습니다.

자료를 다시 보시면 확실히 일선도시들이 모든 면에서 앞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청두 같은 경우에는 일인당 gdp가 다른 지역과는 너무 많이 차이가 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전체 평균도 안되는 인당 gdp입니다)

 

충칭도 마찬가지 상황인것을 보았을 때, 아직 중국 도시별 격차가 심각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조사한 도시들의 인구 총합이 1억 4천만입니다. 전체 인구의 10%가 살고 있는

 

주요 도시의 격차가 이렇게 심각한걸 본다면 다른 비주류 도시들은 더 큰 차이를 보일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재외 동포 현황과 중국 진출 기업에 대한 자료를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꽤나 유용한 자료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금 흥미로운데요.

먼저 재외동포 현황입니다.
http://news.kotra.or.kr/user/reports/kotranews/20/usrReportsView.do?reportsIdx=7895

밑에는 중국 진출 기업분석 외교부 자료입니다. 
http://www.mofa.go.kr/www/brd/m_3454/view.do?seq=356334&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

 

중국 재외동포 현황 2017년

중국내 한국인 총 거주자는 349,406명입니다.  (재외동포제외)

그 중 유학생이 6만2천명이나 될 정도네요.. (생각보다 많네요..)

일반 체류자라고 적힌 분들이 실질 거주자인것 같은데요 27만 5천338명입니다.

 

(근데 자료를 보다보니 통계 출처가 추정이라고 되어있는 것도 있네요..;;)


영주권자는 잘 모르겠습니다.. 중국은 영주권이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안나오는 걸로 아는데요.. 멀까요?..?

 

여기까지 따후의 중국 주류 도시 분석 & 조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