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이야기

[시진핑] 중국의 주석 시진핑은 누구인가?

대륙의 최고 권력자는 당연히 주석이다.

그렇다면(무슨 전개?) 먼저 역대 중국 주석들을 살펴보자.

 

제1대 주석 마오쩌둥 1949.10 ~ 1959.04

제2대 주석 류사오치 1959.09 ~ 1968.10

권한대행 쑹칭링 둥비우 1968.10 ~ 1981.05

제3대 주석 리셴녠 1983.06 ~ 1988.04

제4대 주석 양상쿤 1988.04 ~ 1993.03

제5대 주석 장쩌민 1993.03 ~ 2003.03

제6대 주석 후진타오 2003.03 ~ 2013.03

제7대 주석 시진핑 2013.03 ~ 현재

오늘은 그 중에서도 현재 주석 자리에 있는 시진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연설하는 시진핑 - 출처 바이두

먼저 연혁을 살펴 보도록 하자.

확실히 공산당의 수장 답게 머 한게 많긴 하다. (대단하긴 대단하네요..;; )

1953년 6월에 시중쉰의 3번째 자녀이자 둘째 아들로 베이징(北京)에서 태어나 부유한 성장기를 보냄.

 

习仲勋 시중쉰 (시진핑의 부친 출처 - 바이두)

(시중쉰 : 시진핑 주석의 아버지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을 지냈으며 심천시 경제특구 최초 고안자라고 한다..ㅎㄷㄷ;)

 

중국 심천 출처 - 바이두

1974년 1월에 중국 공산당에 입당

~1975년에는 지식청년(知識靑年)으로 활동

 

**지식청년(知識靑年)

: 문화혁명 기간 중에 중학교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농촌이나 생산 현장의 노동에 직접 참여했던 젊은이를 뜻한다.

 

지식청년 당시의 시진핑  출처 - 바이두

1979년에 칭화대학(靑華大學) 공정화학부 기본유기합성과를 졸업 (의외의 전공..;)

그리고 같은해에 졸업하자마자 뜬금없이(?)1979년 겅뱌오라는 군고위 간부의 비서로써 군부 경력을 쌓게 된다.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아마 아버지의 권유로 높은 직위를 추후에 맡기 위한 경험이었던듯..)

1982년~1983년에는 허베이성(河北省) 정딩현(正定縣) 당위원회 부서기로써 실질적인 최초 공직.

 

(이 당시 이미 차기 주석 얘기가 외부로 나옴... 내부에선 거의 암암리에 결정되지 않았을까??,,)

아그리고 여기서 설명...

중국 공산당의 파벌은 현재 크게 세 개의 세력으로 나눠진다. 

중국 공산주의청년당 파벌의 ‘퇀파이’, 제5대 주석인 장쩌민을 위시한 ‘상하이방’, 

 

그리고 공산당 초창기 핵심 멤버들의 후손들을 중심으로 한 ‘태자당’의 세 개 세력이다. 

시진핑은 세 개 파벌 중 태자당에 속해 있었으며, 일찌감치 태자당에서 지도자 후보로 주목되었던 인물이었다. 

1997년 시진핑은 중국 공산당 제15차 전국대표대회에서 151위로 중앙위 후보위원에 당선됐는데, 

본래 150명만 뽑으려던 후보위원을 태자당의 시진핑을 당선시키기 위해 151명으로 늘린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는...

 

ㅎㄷㄷ... 좌석수까지 늘리는... 권력(?)

1983년~1985년에는 허베이성 정딩현 당위원회 서기로 있었으며

1985년~1988년에는 푸젠성(福建省) 샤먼시(厦門市) 당위원회 상무위원, 부시장을 지냈다.

1988년~1990년에는 푸젠성 닝더(寧德)지역 당위원회 서기를 역임. 

1990년~1993년에는 푸젠성 푸저우시(福州市) 당위원회 서기,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 상무위원회 주임으로 있었으며

1993년~1995년에는 푸젠성 당위원회 상무위원, 푸저우시 당위원회 서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을 맡았다.

1995년~1996년에는 푸젠성 당위원회 부서기, 푸저우시 당위원회 서기, 

 

푸저우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으로 있었고

1996년~1999년에는 푸젠성 당위원회 부서기를 지냈으며, 

1999년~2000년에는 푸젠성 당위원회 부서기, 성장대리를 역임하였다.

2000년~2002년에는 푸젠성 당위원회 부서기, 성장을 맡았고

2002년에는 저장성(浙江省) 당위원회 부서기, 성장대리를 지냈으며

같은 해에 칭화대학 인문사회학원 마르크스(Marx)이론과 사상정치교육과 법학박사 학위를 얻게 된다.

2002년~2003년에는 저장성 당위원회 서기, 성장대리로 있었다.

2003년~2007년에는 저장성 당위원회 서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을 역임하였다. 

(이 당시에 ‘4대천황’ 이라는 거물급 정치인들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보시라이(薄熙來)’, 리커창(李克强), ‘리위안차오’, '시진핑'이다 )

 

시진핑과 보시라이 - 출처 - 바이두

2007년에는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앙서기처 서기, 

 

상하이(上海)시 당위원회 서기, 중앙당교(中央黨校) 교장을 맡았으며,

같은해 10월에 리커창 상무부총리를 제치고 차기 후계자로 지목.

 

리커창 - 이분도 어마어마한 권력자라는...

이때 시진핑이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태자당과 상하이방의 후원을 받기 시작함.

여기가 진짜 재밌는 대목인데 ㅋㅋㅋ 

 

보시라이와 리커창은 상당히 강력한 권력을 쥐고 있던 사람들이다.

근데 둘의 권력이 너무나 극단적으로 다르고 힘도 강하다보니, 세 권력 집단에서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그나마 인지도가 낮은 시진핑을 주석에 앉히는 거였다. 

 

명목적인 이유가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로 권력의 크기는 시진핑도 만만치 않았다.

 

타협이 끝나고 주석 되자마자 바로 ...돌변하는 그는.. 무섭다..

더 재밌는 대목은 보시라이는 이후에 잡혀들어간다... 탈세혐의로 통수에 통수, 무서운 정치세상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당교 교장, 국가부주석

2013년 3월 제7대 중국 국가 주석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2018년 3월 11일 헌법 개정 - 국가주석 임기 철페 개헌 

 

(장기 집권 선언...이 당시에 시진핑 이름을 인터넷에 검색이 안되었다. ㅎㄷㄷ)

 

푸우가 시진핑을 닮았다하여 검색이 한동안 금지 되었다.. 출처 - 구글

다들 기억하시겠지만 몇년 전에 중국에서 부패척결을 한다고 대대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때 한국의 김영란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 또한 중국 내에서 부패척결 명분으로 대대적으로 이용함..)

 

부패 척결이라는 이름으로 숙청 혹은 해임된 공무원이 100~200만명 이라고 하니 ...

 

추가적으로 시진핑의 자녀에 대해서는 바이두에서는 자세히 나오지 않습니다. 

 

중국 인민일보가 시진핑 딸에 대한 언급을 한적이 있다는데 기사자료는 못찾았습니다.

 

(시밍쩌(習明澤) <- 알려진 시주석의 딸 이름인데요, 바이두에 검색하시면 자료 안뜹니다... 막아놓은듯..;)

 

구글이나 네이버를 통해서 찾아본 결과 딸이 한명있고 숨겨진 아들이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확실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가 막강 권력자 중국 주석 시진핑에 대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