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다른 것들도 중요하지만
중국 도시들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중국 도시들에 대한 정보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1화에서는 1선 2선 도시와 저의 개인적 의견을
2화에서는 중국 도시 주요도시의 객관적 정보와 한국인이 많은 도시들을
3화에서는 비주류 도시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중국의 도시 분류
2018년 기준 이구요. 2선 도시까지만 살펴보면
一线城市(4个)
上海市 北京市 深圳市 广州市
新一线城市(15个)
成都市 杭州市 重庆市 武汉市 苏州市 西安市 天津市 南京市 郑州市 长沙市 沈阳市 青岛市 宁波市 东莞市 无锡市
二线城市(30个)
昆明市 大连市 厦门市 合肥市 佛山市 福州市 哈尔滨市 济南市 温州市 长春市 石家庄市 常州市 泉州市 南宁市 贵阳市 昌市 南通市 金华市 徐州市 太原市 嘉兴市 烟台市 惠州市 保定市 台州市 中山市 绍兴市 乌鲁木齐市 潍坊市 兰州市
도시 나누는 기준은 인구가 아니라 상업 자원 집중도, 허브성, 구매력과 gdp 규모라고 설명 되어있는데요..
요약하자면 해당 도시인의 경제수준을 기반으로 구분한것 같습니다. (주관적인 분석)
(사실 밑에 3, 4선 도시들 대부분 인구가 500에서 1000만 사이라서.. 역시 대륙.. ㅋㅋ;;)
필요하신 분들은 링크 직접 들어가셔서 자세히 보시길 바랍니다.
중국 가시기 전에 해당 도시에 대해서 조사를 해보는것도 좋으니까요 ㅎ
여기 보시면 기존의 1선도시들 밑에
신 일선도시라고 되어있는데.. 상업지수가 굉장히 높은 도시들입니다.
商业资源集聚度 인데요. 한국어로 상업자원밀집도 정도로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2018년 발표 자료입니다.
총칭과 청두가 앞도적이네요.. 청두는 가보진 않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라고 알고 있습니다.
( 판다로도 유명합니다. ㅋㅋ )
西安(서안)도 여행을 일주일 정도 갔다온적이 있는데요.
변두리는 모르겠지만 내부쪽은 깔끔하고 발전이 많이 된 도시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흠.. 다른 곳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우한은 신일선 도시급의 경제 수준은 아닌거 같아요.(주관적 의견)
우선 아직 도시화가 별로 안되있어요. 빈부격차도 딱봐도 커서 경제수준이 평균값은 높을지라도 대부분 아직 기존 1선 도시급의 경제수준은 아닙니다.
그리고 저번 글(유학 글)에서 말씀 드린것처럼 부동산값이 폭등하고 있는 곳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부동산 투기로 돈 버는 사람도 많고 월세도 미친듯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아직 상해 정도의 가격은 아니지만 제 경험상 하루가 다르게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식 사업하시려는 분들은 우한은 괜찮은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외자법인 허가에 대해서도 친절한 편이구요. 특히 한식 요식업은 확실히 맛집이 적습니다.
한국인이 직접하는 음시점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죠.. 특히 치킨은 고급치킨으로 가면 좋은데.. 하하;
배달플랫폼으로 승부를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만.. (수수료가..미쳤습니다..ㅠ.ㅠ)
그리고 우한 내에 한국인 자체가 너무 적어서 한국인 커뮤니티 같은 것들이 별로 없습니다...(유학생 모임 제외, 정말 없습니다...)
여튼 다시 돌아와서 ..
저도 다시 중국에 가려고 계획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 정보에 관심이 많은데요.
다음에는 충칭 혹은 2선도시로 가서 생활해 보고 싶은데요.
충칭은 인구가 3000만이 넘는 대 도시입니다. 물론 면적이 크기 때문에인구 밀집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해당 도시의 거주 한국인이 타 도시에 비해서적다는 생각..
( 추측..바이두 아무리 찾아도 구체적 지표는 안나오네요.. )
내륙 도시들이 다 그렇지만 상해, 청도, 심천, 북경, 광저우 보다 한국인이 현저히 적다고 생각합니다..
중국내에서 경제력 수준이 높다는 점이 경험하기 좋은 도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텐진도 엄청나게 큰 도시인데요. 제가 알기로는 텐진에 중국 고위직 정치인들이 여기에 많이 산다고 들었습니다.
교통도 잘되있는 것으로 알고 한인 사회도 우한보다는 잘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 생각나는 정보가 있거나 얻게 되면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
그리고 다음화에서 조금 더 구체적인 지표와 자료들을 가지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경제] 중국의 최대 문제 고령화, 다가오는 초고령화 (1) | 2019.04.26 |
---|---|
[시진핑] 중국의 주석 시진핑은 누구인가? (0) | 2019.04.22 |
중국의 대학 - 800개 대학 순위. (0) | 2019.04.22 |
[중국 경제] 중국의 도시 3화 - 중국의 비주류 도시 분석 (GDP,인구,경제,인구밀도,통계) (0) | 2019.04.22 |
[중국 경제] 중국의 도시 2화 - 중국의 주류 도시 분석 (GDP,인구,경제,인구밀도) (0) |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