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이야기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에 대해서 알아보자.

중국 정부 발표 일대일로 계획 출처 - 바이두

위의 사진이 그 유명한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입니다.

 

저렇게 길게 연결하여서 해상과 육상을 연결하는 실크로드를 만들겠다는게 주된 목표입니다.

 

중국이 일대일로를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번째, 지역 불균형 해소와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대내적으로 추진해온 서부대개발 , 중부굴기 , 동북3성의 프로젝트와 대외적으로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주변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경제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함.

 

두번째, 일대일로를 통해 자국의 경제 영토를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로 확대하고, 나아가 지역경제 통합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저는 전문가들의 의견중에서 이 두가지가 가장 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두번째의 자국의 경제 영토를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는 이미 거의 이뤄져 가는것 같습니다.

 

현재 일대이롤 참여 국가 현황입니다. 현재 百度知道에 나온 자료입니다.

 

1、中国,包括东亚的蒙古国,东盟12国:新加坡、马来西亚、印度尼西亚、缅甸、泰国、老挝、柬埔寨、越南、文莱和菲律宾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브루나이, 필리핀)

 

2、西亚18国:伊朗、伊拉克、土耳其、叙利亚、约旦、黎巴嫩、以色列、巴勒斯坦、沙特阿拉伯、也门、阿曼、阿联酋、卡塔尔、科威特、巴林、希腊、塞浦路斯和埃及的西奈半岛

(이란, 이라크, 터키,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쿠웨이트, 바레인, 그리스, 키프로스,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

 

3、南亚8国:印度、巴基斯坦、孟加拉、阿富汗、斯里兰卡、马尔代夫、尼泊尔和不丹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 스리랑카, 몰디브, 네팔, 부탄)

 

4、中亚5国:哈萨克斯坦、乌兹别克斯坦、土库曼斯坦、塔吉克斯坦和吉尔吉斯斯坦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5、独联体7国:俄罗斯、乌克兰、白俄罗斯、格鲁吉亚、阿塞拜疆、亚美尼亚和摩尔多瓦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그루지야,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몰도바)

 

6、中东欧16国:波兰、立陶宛、爱沙尼亚、拉脱维亚、捷克、斯洛伐克、匈牙利、斯洛文尼亚、克罗地亚、波黑、黑山、塞尔维亚、阿尔巴尼亚、罗马尼亚、保加利亚和马其顿。

(폴란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알바니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이렇게 많은 나라들이 참여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저 육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강대국들도 참여해야하는데요

 

문제는 이 나라들이 참여할 이유가 전혀 없으며... 미국과 우방국이기 때문에 참여가 불확실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그리스가 참여 의사를 긍정적으로 밝혀서 논란이 되었는데요..

 

현재는 그리스의 문화 유적 보호법 때문에 항구 개발에 제동이 걸렸다는군요.

 

그리스는 유럽의 꼴통 나라이니 그렇다쳐도 독일과 프랑스는 절대로 참여 안할것 같네요.

 

또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등의 아시아 국가들에게 일대일로 진행을 위한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쳐서 값으라는 식의 독소조항을 가진 거의 사채업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국제적 시선이 곱지 않습니다.

 

한국도 인천과 중국 대륙을 이어지게 하는 다리를 건설하자는 제안을 하려한다는 얘기가 잠깐 나왔다는

 

사실인지 모르겠는 루머(?)가 나온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사실확인 안됩니다..)

 

여튼 앞에서 본 여러 나라들의 사례들을 토대로 분석해 본다면

 

한국이 일대일로에 참여하게 된다면 득보다 실이 많은 사업이 될것 같습니다.

 

지금 이 일대일로 사업과 관련해서 시진핑이 굉장히 많이 신경을 쓰고 있는데요.

 

제 생각에는 마치 자기가 죽기전에 먼가 하나 해놓겠다는(?) 혹은 독재자의 위엄을 과시하겠다는(?) 걸로 보여집니다.

 

명목적 전략을 살펴보면 중국 정부에서 말하는 일대일로의 전략은

 

정책 소통(), 인프라 연결(), 무역 확대(), 자금 조달(), 민심 상통() 입니다.

 

일대일로 전략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많은 국가들이 참여하는 이유는 인프라 연결과 무역확대 저 두가지를 보고서 참여한다고 생각됩니다.

 

말은 좋은데.. 지금 참여중인 국가들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거의 경제적 식민지 만들기의 수단으로 보입니다.

 

돈을 거의 수십조씩 빌려서 진행하는 독소조항을 가진 빛더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중국이라는 강대국에서 압박을 가하니 후진국 입장에서는 안할수도 할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필리핀과 베트남의 사례를 보면 현재 반중감정이 엄청납니다.. 

 

 

이유는 중국인들의 필리핀에서의 만행 + 일대일로 + 남중국해 문제 때문인것 같습니다.

 

또한 일대일로 진행 이후에 7%이던 경제성장율이 6%대로 떨어지고 올해는 4%까지 떨어질거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필리핀이 중국으로부터 차입할 자금의 금리는 2%에 0.3%의 약정 수수료와 18만 6260 달러의 관리 수수료라고 합니다.

 

이렇게 20년 가량 채무를 값아 나가야하는데...

 

경제둔화와 동시에 진행되는 프로젝트라면 분명히 문제가 됩니다. 

 

채무 불이행 시에는 국유자산을 넘겨줘야 할 수도 있다네요... 우리나라의 imf 시절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입 같은건가..?

 

미국을 버리고 중국을 선택한 두테르트가.. 과연 어떻게 할지 궁굼합니다.

 

현재 중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프로젝트 주도국인 중국도 조심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중국이 일대일로에 투자하는 금액에 비해서 리턴이 그렇게 좋지 못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심지어 프로젝트의 완성도 불확실합니다.

 

아직 참여하지 않은 주요 국가들도 많고

 

이 프로젝트가 진짜로 도움이 되냐며 불만을 가지기 시작하는 국가들이 생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백조가 들어가는 프로젝트인 만큼 성공여부에 많은 나라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궁굼하긴 합니다.. 어떻게 될지..? 운하 건설하다가 망한 나라가 있다고 들어봤는데.. 흠..

 

여튼 여기까지가 일대일로에 대한 소개였습니다.